안녕하세요 슈퍼점프입니다.
오늘 채팅방에서 질문을 하나 받아서 레버리지에 대한 설명과, 수수료에 대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말씀드릴 것은 이 글은 선물 투자를 권장하는 글이 절대 아닙니다.
하지만 이미 가상화폐 선물 거래를 하고 계시는 분들의 큰 손해를 막기 위해서 설명 드리는 것 입니다.
지난번에 간단하게 선물거래의 위험성과 레버리지에 대해서 설명드렸는데요.
오늘은 선물거래의 가장 큰 특징인 레버리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레버리지의 개념 복습
- 이더리움이 1개에 100달러라고 가정하고,
- 또식이는 전체 시드가 100달러가 있습니다.
- 레버리지를 사용할 경우 또식이가 계약할 수 있는 최대 이더리움의 갯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사실 보증금 개념이 있긴 한데, 직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설명했습니다
- 하루에도 20% 변동을 볼 수 있는 장이기 때문에, 5배 래버리지도 위험하고,
- 2021년 5월에는 2배 레버리지 거래들도 청산이 되는걸 볼 수 있었습니다.
2. 레버리지에 따른 거래 수수료!
- 일단 주로 많이 사용하시는는 바이넨스와 비트겟 거래소의 수수료를 적어보겠습니다.
- 실제는 사고 팔 때는 살때 1번, 팔때 1번 계약이 되니 수수료가 2번 나가게 됩니다.
- 그럼 이더리움 1개를 100달러에 사서, 101달러에 판매한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실제 가격은 1% 변동.
- 즉 레버리지 100x로 하면 바이넨스와 비트겟을 쓰시는 분들은 8% 이상 수익이 나와야, 실제 시드가 증가됩니다.
- 여기서 중요한 것은 레버리지가 높다고 수수료를 많이 내는게 아니고,
- 레버리지가 낮다고 수수료를 적게 내는 것도 아닙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으시면 아래 오픈챗으로 들어오셔서 질문해 주시구요!
감사합니다.
'선물 거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래의 거래법 1편 - 마켓 메이커를 이해하셔야 합니다. (2) | 2025.03.08 |
---|---|
트레이딩과 시간에 대해서 (0) | 2025.03.06 |
안녕하세요 슈점입니다. 오랜만입니다. (1) | 2025.02.27 |
봇에 투자해볼까??? (0) | 2022.04.19 |
스캘핑을 비유하자면 뭘까???? (0) | 2022.03.04 |
선물 거래 3. 주식의 관점과 선물의 관점은 다르다. (0) | 2022.02.08 |
선물 거래1. 롱, 숏, 그리고 레버리지. (1) | 2022.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