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트레이딩과 시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데이 트레이딩을 이미 수월하게 하고 계신 분들은 이 글을 볼 필요가 없고,
처음 접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글을 작성합니다.
다만 지금 시간이 없어서 다소 두서없는 글이 나올 것 같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신 분들은 텔방에서 질문 주세요 (아주 조용하고, 뭐 가입유도 이딴거 없습니다)
아마 다들 아실 것이라 생각하는데, 데이 트레이딩에서는 주로 거래하는 시간이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 주식에서 일부 실력자 분들이 장 개장 초반에만 거래를 하는 것 처럼..
비트코인도 변동성이 좋은 시간대가 있습니다.
[주요 변동성 시간]
1. 미장 오픈 시간.
-> 미국장 오픈시간 20시반 혹은 23시반에 변동성이 심하죠, (서머타임 적용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뭐 나스닥 변동성 따라서 움직이지요,, 나스닥이랑 커플링 되서 움직이는 경우도 많지만, 별로 추천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2. 10시 반 지표 발표 시간
-> 대부분이 22시 30분입니다. 아래는 제가 따로 트레이딩 일정을 정리해 놓은 것인데, 대부분의 지표발표가 10시반, 혹은 11시 반입니다. 지표 발표날에 따라 복기를 해보시면 그때 변동성이 어느정도인지, 보통 언제부터 언제까지 움직이는지 감이 오실 거에요

3. FOMC 발표 및 기자 회견 시간
FOMC는 코인 하시는 분이면 가장 많이 아실텐데 이 역시 경제 캘린더에 잘 나옵니다.
4. 금요일 11시반 이후 부터 6시 45분까지 (월 말이면 조금 더 심함)
CME 비트코인 선물 마감일이면 더 괴랄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5. 월요일 07시 부터
이것도 CME와 관련있는데 월요일 08시부터 장이 오픈됩니다.
6. 그 밖에 뉴스시간.
이건 뭐 트럼프 기자회견이라던지, 그런 것들입니다.
CME 갭이라던지 이런건 다음에 상세하게 다루기로 하고,
데이 트레이딩과 시간을 다루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사람이 포지션을 잡으면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한정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2. 변동성이 없는 시간대에 들어가는 것은, 정신적인 에너지를 소모하고,
3. 변동성이 없는 시간대에 손절이 나면 변동성이 높은 시간대에서 장을 바르게 보지 못할 확률이 높습니다.
4. 포지션이 있는 상태로 변동성이 나오는 시간대를 맞이하면 큰 손실, 혹은 큰 수익을 얻는데, 저의 경우는 대부분 오히려 크게 먹지 못하거나, 큰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단타를 하신다면 집중력있게 주요시간대만 하시는게 오히려 기회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때문에 항상 당일의 뉴스 일정을 파악해 두세요, 매매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 세션]
뭐 사람마다 다를 수 있는데 저는 대강 아래와 같이 나누고 있습니다
9시부터 15시까지 아시안, 4시30분 부터 01시까지 유럽, 10시30분부터 07시까지 미국
아시안 세션 - CME갭이 크게 생긴 월요일 아니면, 변동성이 없는 날이 대부분입니다. 만약 아시안 세션에 큰 변동성이 CME 갭 이외에 생겼다면, 무슨 큰 뉴스가 터졌거나, 일본의 금리 발표가 있는 날일 겁니다(앤캐리),
유럽 세션 - 변동성은 아시안세션과 비슷하거나 그보다 조금 큰 정도인 것 같습니다.
미국 세션 - 이게 본 장이죠.
[오늘의 결론]
(역시나 글이 두서가 없네요)
- 뉴스, 지표일정은 항상 파악하고 트레이딩에 참고하자.
> 괴랄한 움직임은 보통 뉴스나 지표 발표때만 나옵니다. 그 외에 시간대에서 괴랄한 움직임을 기대하거나 상상하는 것은 손해를 키울 수 있습니다. (주로 이걸 휩소라고 하시는 분들 많은데, 제가 생각하는 휩소에 대해서 다음에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 CME 관련된 시간은 항상 체크하는게 좋습니다.CME갭
- 아시안 세션은 될 수 있으면 피하자.
뭐 자세한 사항이나 각자 더 많은 뉴스나 대응 방법은 있을 것인데요,
오늘은 정말 지극히 개인적으로 주관적인 생각으로, 제가 처음부터 알았으면 좋았을 텐데 하는 것들에 대해, 초보자 분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좋은밤 되세요.
'선물 거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래의 거래법 1편 - 마켓 메이커를 이해하셔야 합니다. (2) | 2025.03.08 |
---|---|
안녕하세요 슈점입니다. 오랜만입니다. (1) | 2025.02.27 |
봇에 투자해볼까??? (0) | 2022.04.19 |
스캘핑을 비유하자면 뭘까???? (0) | 2022.03.04 |
선물 거래 3. 주식의 관점과 선물의 관점은 다르다. (0) | 2022.02.08 |
선물 거래 2. 레버리지와 수수료 (1) | 2022.02.05 |
선물 거래1. 롱, 숏, 그리고 레버리지. (1) | 2022.01.29 |
댓글